안녕하세요 요번에는 코맥스 월패드 연동을 하여 HA

에서 전등, 보일러, 일괄소등 등 연동을 해보려고합니다.

아마 무에서 유를 창조하려면 굉장히 힘들고 포기했겠지만 다행히도 선구자님들께서 진행해두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봅니다.

https://cafe.naver.com/stsmarthome

 

Smartthings Korean’s... : 네이버 카페

스마트싱스와 같은 IOT허브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및 스마트홈을 구축

cafe.naver.com

 자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월패드 연동관련된 내용 확인할수 있습니다.

https://cafe.naver.com/koreassistant?iframe_url=/ArticleRead.nhn%3Fclubid=29860180%26page=1%26inCafeSearch=true%26searchBy=0%26query=Wallpad+Controller+with+RS485%26includeAll=%26exclude=%26include=%26exact=%26searchdate=all%26media=0%26sortBy=date%26articleid=579%26referrerAllArticles=true

 

HomeAssistant : 네이버 카페

스마트홈을 이용중이고 앞으로 이용할 사람들의 모임.

cafe.naver.com

 

우선 저는 싱크대 아래에 RS485 신호선을 찾아서 선을 연결을 해둔 상태였습니다. 카페가면 많은 정보가 있으니 확인해보면 좋을거 같습니다.

Add-on-store 메뉴에서 사진과 같은 화면이 있습니다. 이곳에 아래 링크를 입력한뒤 ADD시켜줍니다.

 

https://github.com/HAKorea/addons

저는 코맥스 월패드 이기에 오른쪽끝에 있는 코맥스,삼성,대림 연동한는 에드온을 설치해줍니다.

 

 

다음은 MQTT입니다!!!

mqtt가 뭐냐 저도 자세히는 모르지만 월패드 rs485 신호를 node js로 js ->HA가 알수 있도록? 신호를 쏴주는 정도로 통신 프로토콜로 알고 있습니다.

 

아래 사진처럼 mqtt 설정창에 들어가서 ID,PW를 입력후 저장한뒤 START하면 됩니다.!!

 

아래 사진은 wallpad 에드온 config 설정화면 입니다. 코맥스의 경우 시리얼 통신을 사용하기때문에 

type : serial (디폴트)

수정사항

      mqtt server: 해당 IP

      mqtt username: 위에서 설정한 ID

      mqtt password: 위에서 설정한 PW

 

여기서 부터 중요합니다.!!!!!

 

이전에 삼바를 설치했두었습니다. 삼바로 접속해서 수정하거나 직접 ssh붙어서 수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접속해서 아래 밑줄처럼 해당 경로로 이동해 줍니다. 

commax~.js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거나 노트패드를 이용하여 수정합니다. 30일 평가판있습니다.!

js를 열었습니다. 169번째 줄에 보면 switch로 시작하는 구문이 있습니다. 해당 구문위에 아래 if~ 적고 저장을 합니다.

if (data.length == 8)

 

 

그다음 저의 집은 84m2 로 방이 4개+거실 1개입니다. js에는 연동이 안되있는게 있어서 추가해줍니다.

 

해당 commax .js에는 큰방(안방X)이 보일러가 적용이 안되어있어 추가하여 적용합니다. 

첨부파일로 수정파일올려두겠습니다.

 

commax_serial_wallpad.js
0.02MB

 


               61번줄

    {deviceId: 'Thermo', subId: '5', stateHex: Buffer.alloc(3,'828105','hex'), power: 'heat' , setTemp: '', curTemp: ''},
    {deviceId: 'Thermo', subId: '5', stateHex: Buffer.alloc(3,'828405','hex'), power: 'off', setTemp: '', curTemp: ''}, 

              105줄

 {deviceId: 'Thermo', subId: '5', commandHex: Buffer.alloc(8,'040504810000008e','hex'), power: 'heat' },
        {deviceId: 'Thermo', subId: '5', commandHex: Buffer.alloc(8,'040504000000000d','hex'), power: 'off'},

               112줄

{deviceId: 'Thermo', subId: '5', commandHex: Buffer.alloc(8,'040503FF000000FF','hex'), setTemp: ''}, 

 

이번에는 연동한 월패드를 전등및 스위치를 생성? 불러오도록하겠습니다.

 


climate.yaml
0.00MB

위에 파일은 보일러 파일입니다.

switchs.yaml
0.00MB

 일괄소등 관련된 스위치 파일입니다.

lights.yaml
0.00MB

전등 관련된 전등파일입니다.

 

위와 같이 설정하고 유효성 검사후 HA를 재기동 합니다.  아래사진처럼 고급모드를 클릭하게 되면 설정에 재시작하는 유효성검사 버튼이 생기게 되기때문에 누른뒤 재시작하시면 됩니다.

요렇게! 연동이 완료되게 됩니다.!!

'IOT > Home Assista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T]Hassio 설정!  (0) 2020.05.04
[IOT] Docker, Hassio 설치!  (4) 2020.05.04
[IOT]라즈베리파이 기본셋팅  (1) 2020.05.04

 

 

Hassio 설치 우선 계정을 만들고 옆에 사진처럼 위치를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탐색누르시면 IP주소지로 변경됩니다.!

 

다음버튼을 누르면 드디어 HA(=Hassio)가 설치가 완료됩니다.!

 

 

이제 필요한거를 에드온을 이용하여 설치해보도록하겠습니다.

 

우선 file editor을 설치하겠습니다. 왼쪽메뉴에서 Supervisor누른뒤 위쪽에서 Add-on store에 들어가서 에디터를 클릭하여 설치합니다.

 

 

INSTALL을 눌러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 사이드바를 활성화해줍니다. 이렇게 해야 에디터를 사용할수 있습니다. START 를 눌러 설치를 마칩니다.

 

이번에는 Duck DNS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DuckDNS는 DNS설정을 해주는것입니다.

우리가 네이버를 접속할때 도메인 주소를 치고 들어가는것과 동일하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도메인을 사용하기위해서는 일정금액을 내야하지만 저 오리친구가 공짜로 만들어주는 좋은 친구입니다. 

그럼 설치해보시죠!

오리친구를 INSTALL 해준뒤 빨간박스를 클릭하여 DuckDNS주소를 생성해야합니다.

 

아래와 같이 본인의 IP를 넣고(외부IP) 모른다면 구글에 IP확인치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설정하고자하는 도메인이름을 설정하면 아래처럼 토큰과 본인이 설정한 도메인네임을 알수 있습니다. 잘기억해둡니다.!

 

다시 HA로 돌아와서 위쪽 메뉴를 보면 Configuration이 있습니다 . 아까 발급받은 토큰을 입력하고 도메인도 입력한뒤 저장합니다.

공유기에서 HA를 포트포워딩해줘야합니다.

우선 8123(HA디폴트 포트)를 포워딩해주면 됩니다만 아래에서 SSL적용및 포트떼기를 할 예정이니 같이 등록해주도록 합니다.

주소창에 자신이 설정한 도메인뒤에 포트번호를 적으시면 됩니다. 자신의도메인:8123 그렇게 되면 아래와같은 로그인페이지가 뜨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어디서든 접속이 가능하게 됩니다. 하는김에 https 설정및 포트떼기를 하겠습니다.

프록시 설정및 https 설정기

프록시및 https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Nginx가 필요하지만 그를 돌리기 위해 DB가 필요합니다. 그렇기때문에 MariaDB를 설치 해줍니다.

 

 

INSTALL을 해줍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설정해줘야 가동시킬수 있습니다. HA ID,PW 와 같이 하면 될거 같습니다. 

검색을 하여  Nginx 프록시 매니저를 설치합니다.

INSTALL하는데 시간이 조금 소요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START를 눌러 시작합니다.!

 

오른쪽 아래에 OPEN WEB UI를 누르게 되면 오른쪽과 같은 로그인 창이 뜨게 됩니다.

초기 ID : admin@example.com PW changeme

 

사용자 설정이 나오게 되구요 그냥 Save 누르셔도 무관합니다.  그다음으로는 비밀번호를 변경하구요

첫번째 칸에 기존 비빌번호 changeme 를 입력하고 설정하고자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저는 HA비밀번호랑 통일)

 

다음으로 Dashboard 를 누른뒤 녹색박스를 클릭합니다.

AddProxyHost 를 클릭합니다.

 

Domain Names 에는 자신이 하용한 주소를 입력하면 됩니다.

앞에 HA를 붙임으로써 HA라는것을 명시해주었습니다. 

ex) HA.aaaaa.duckdns.org 

주소를 입력하면 밑에 add~ 를 클릭하고 포워딩할 IP를 입력후 우쯕에 포트 8123(HAport)를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저장이 완료되면 빨간줄에 자신이 설정한 주소가 나타나게 됩니다. 설정한 주소로 접속해봅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접속이 되면 완료되었습니다. 정상적으로 뜨지 않는것은 보안설정이 안되어서 그렇습니다.

(http로 접속하면 원활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제 HTTPS 설정을 하겠습니다.

 

조기 빨간 Edit를 눌러주세요!

SSL 메뉴로 가서 None를 클릭하면 Request 를 클릭합니다.

Force SSL를 체크하고 Agree~동의를 해준뒤 Save 저장을 해줍니다. 

이로써 SSL 보안인증서를 자동을 발급해서 https로 작동이 원활하게 됩니다.

요렇게 아래 사진처럼 HTTPS 보안연결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HTTPS를 적용하게 되면서 구글홈,ST연동이 가능하게 됩니다. 

 

 

그러면 다음편에서는 코맥스 월패드와 연동기로 찾아오겠습니다.!~

'IOT > Home Assista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T] 코맥스월패드 연동기  (2) 2020.05.04
[IOT] Docker, Hassio 설치!  (4) 2020.05.04
[IOT]라즈베리파이 기본셋팅  (1) 2020.05.04

안녕하세요. IOT에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삼바란 디렉토리 공유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클라이언트(작업하는 컴퓨터)에서 타겟에 접속을 가능토록해주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자세한 설명은 구글선생님께....

 

삼바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udo apt-get install samba -y

Yes를 눌러 설치를 마칩니다.

sudo smbpasswd -a pi

삼바에 사용한 계정은 pi이고 비밀번호를 설정하게 됩니다.

 

sudo nano /etc/samba/smb.conf

맨밑으로 내려가서 긁어서 입력해주면 됩니다. 사진은 짤린것이니 입력바랍니다.

저장및 나가기는 ctrl + x ->y입니다.

 

[pi home]
  comment = Share directory
  path = /home/pi
  valid users = pi
  writable = yes
  create mask = 0644
  directory mask = 0755

[pi config]
  comment = Config directory
  path = /srv
  valid users = pi
  writable = yes
  create mask = 0644
  directory mask = 0755
  force user = root
  force group = root

 

 

저장후

sudo service smbd restart 

 

이전에 셋팅할때 설정한 IP주소를 입력하면 요런 화면이 뜨면 정상입니다. 

ID : PI

PW : 본인설정

Docker 설치

 

도커란? =가상화 

사진보시면 돌고래 위에 컨테이너가 올라가있죠? 고래라는 가상화시켜주는 친구위에서 프로그램을 돌린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주 고마운 친구입니다.

가상화 프로그램인 VM과 Docker 동작 방식의 차이를 설명한 사진입니다.

그냥 보고 그런가보다 하면 될거같습니다.!

 

 

curl -fsSL https://get.docker.com/ | sudo sh

언제나 그렇듯 자동으로 쫘악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한후

sudo usermod -aG docker pi

도커에게 권한을 주어야 합니다.

 

 

 

포테이너 설치

포테이너(portainer)란 도커를 편리하게 핸들링할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UI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docker volume create portainer_data

도커 볼륨을 생성합니다.

 

sudo docker run -d -p 9000:9000 --name portainer --restart always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v portainer_data:/data portainer/portainer:latest

 

 

크롬을 열고 주소창에 본인IP:9000 입력을 합니다. ID, PW을 생성한뒤 Local를 눌러서 Connect 하시면 됩니다.

그럼 기본적인 포테이너 설치는 끝이 나게 됩니다.

 

 

 

대망의 Hassio설치

 

hassio-installer 가 친히 있어 이를 이용하여 설치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udo apt-get install bash jq curl avahi-daemon dbus software-properties-common apparmor-utils -y

 

아래처럼 쭈욱 설치가 됩니다. 

sudo su

 

 

요거 붙여넣으면 됩니다.!

 

curl -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assistant/supervised-installer/master/installer.sh | bash -s -- -m raspberrypi4 -d /srv/hassio

 

 

저는 라즈베리파이4를 사용하기때문에 장치명에 raspberrypi4로 설치하였습니다.

 

자동인스톨러로 설치를 하게 되면 해당아이피:8123 가면 아래와 같이 설치가 됩니다.

위에 명령어 치고 시간이 조금 필요합니다. 10분가량 기다렸는데 안되게 된다면 

 

docker images 를 이용해서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위와 같은 방법은 현재 설치가 어렵다고 합니다. 

2020년 05월 기준 아래로 설치방법을 변경합니다.

참고 링크입니다.(Home Assistant 공홈)

https://www.home-assistant.io/docs/installation/docker/

 

Installation on Docker

Instructions to install Home Assistant on a Docker.

www.home-assistant.io

 

 

 

docker run --init -d --name="home-assistant" -e "TZ=Asia/Seoul " -v /home/homeassistant:/config --net=host homeassistant/raspberrypi4-homeassistant:stable

 

위와 같이 하면 설치가 완료 되게 됩니다

 

 

 

 

 

 

다음편에는 Hassio 설정 및 에드온 설정해보도록하겠습니다.!

'IOT > Home Assista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T] 코맥스월패드 연동기  (2) 2020.05.04
[IOT]Hassio 설정!  (0) 2020.05.04
[IOT]라즈베리파이 기본셋팅  (1) 2020.05.04

 

 라즈베리셋팅하는 방법부터 시작을 해보려고 합니다.

 비밀번호,고정와이파이,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sudo raspi-config 

입력하여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진행할 셋팅은 초기비밀번호 수정하기, 와이파이연결, 타임존 설정하기 입니다.

1번을 눌러서  기본 비밀번호인 raspberry를 개인이 원하는 비밀번호로 수정합니다.

 

 

아래 사진은 2번은 wifi를 설정하는 과정입니다. 엔터를 치고 들가면 나라를 설정하는 창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US를 선택해야 합니다. Korea를 선택하게 되면 와이파이가 정상적으로 잡히지 않습니다.

4. Localisation Options -> Change Timezone 을 눌러 타임존을 설정하게 됩니다.

   Asia -> Seoul 을 선택한뒤에 finish 를 눌러서 빠져나오면 됩니다.

 

 

sudo nano /etc/dhcpcd.conf

들어가게 되면 제일 아래부분에 주석처리 된 부분중에 #을 지우고 사용하고자 하는 고정IP주소를 넣으면 됩니다.

변경후 저장은 ctrl +x를 누른뒤 y를 누르면 저장이 되게 됩니다. 라즈베리파이를 재기동 하면 설정한 ip로 접속이 가능하게 됩니다. 와이파이 고정IP를 설정하였습니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y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시면 업데이트및 업그레이드가 완료 됩니다.

 

 

 

이로써 라즈베리 스마트홈에 필요한 기본 셋팅이 완료가 되었습니다. 다음편에는 삼바, 도커, 포테이너, Hassio까지 설치해보겠습니다. 쑝!

 

'IOT > Home Assista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T] 코맥스월패드 연동기  (2) 2020.05.04
[IOT]Hassio 설정!  (0) 2020.05.04
[IOT] Docker, Hassio 설치!  (4) 2020.05.04

+ Recent posts